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의 복
시편 128:1-6
*오늘은 Mother's Day이다. 가정이 복을 받아야 하겠기에 경건한 자가 받는 복을 증거 한다.
1. 어떤 사람이 복을 받는가?(1)
1)‘복’은 히[바라크]로 ‘무릎을 꿇다’라는 뜻으로 θ앞에 겸손한 자세가 복을 받는 요소임을 시사한다.
2)여호와를 경외(敬畏)(공경할 경, 두려워할 외)하는 사람이다.(1, 2:11, 25:14, 31:19, 112:1)
3)주님의 길을 걷는 사람이다. : 삶의 방식이 θ이 싫어하는 일을 기피하고, θ이 좋아하는 일로 살려는 자
4)곧 θ을 예배하기 위하여 성전에 올라가는 자요, 말씀을 즐거워하여 주야로 묵상하는 자(시1: )이다.
2. θ을 경외하며 그 길을 걷는 자가 누리는 복의 종류는?(2-4)
1)첫째, 노동과 노력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누리는 자에 복이 임한다.(신28:3-6, 8, 38-39, 40-41) :형통
2)둘째, 성전에 올라가는 자의 가정에 행복하고 번성하는 복이 뒤따른다.
3)시인은 복 있는 사람의 아내를 “결실한 포도나무”, 자식을 “어린 감람나무”로 비유→번성과 번영의 상징
4)아브라함의 복(믿음, 물질, 명예, 영적, 자녀)은 자녀들을 통하여 전수 되었다.(가정, 가문, 민족, 열방)
5)셋째, 성전에 올라가는 자들이 거하는 나라는 복을 받는다.(5)
6)넷째, 이외에도 ‘지혜의 근본’(잠9:10), ‘장수’(잠10:27), ‘보호와 인도’(시34:7), ‘재물과 영광과 생명’(잠22:4)
3. 누가 복을 주실 수 있는가?(5-6)
1)시인은 이러한 복을 주시는 ‘시복자가 여호와’라는 사실을 선언한다.(5)
2)민6:24-26(제사장의 축도)처럼 복 있는 사람에게 더 많은 복을 여호와의 빌어주고 있다.(=일종의 축도)
3)θ은 성전을 통하여 복을 주신다.
4)θ은 평생토록 θ을 섬기는 수단으로 현세에 필요한 복도 주신다.
5)θ은 자손을 통한 복을 주신다.
6)θ은 평강의 복을 주신다.
*여호와를 경외는 자가 받는 복에 대하여 말씀드렸다. ‘시복 자이신 θ’은 자신을 경외하여 그의 길을 걷는 자에게
특별히 수고한 대로 먹는 산업의 복과 가족의 복과 평강의 복을 주신다.
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의 복
시편 128:1-6
*오늘은 Mother's Day이다. 가정이 복을 받아야 하겠기에 경건한 자가 받는 복을 증거 한다.
1. 어떤 사람이 복을 받는가?(1)
1)‘복’은 히[바라크]로 ‘무릎을 꿇다’라는 뜻으로 θ앞에 겸손한 자세가 복을 받는 요소임을 시사한다.
2)여호와를 경외(敬畏)(공경할 경, 두려워할 외)하는 사람이다.(1, 2:11, 25:14, 31:19, 112:1)
3)주님의 길을 걷는 사람이다. : 삶의 방식이 θ이 싫어하는 일을 기피하고, θ이 좋아하는 일로 살려는 자
4)곧 θ을 예배하기 위하여 성전에 올라가는 자요, 말씀을 즐거워하여 주야로 묵상하는 자(시1: )이다.
2. θ을 경외하며 그 길을 걷는 자가 누리는 복의 종류는?(2-4)
1)첫째, 노동과 노력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누리는 자에 복이 임한다.(신28:3-6, 8, 38-39, 40-41) :형통
2)둘째, 성전에 올라가는 자의 가정에 행복하고 번성하는 복이 뒤따른다.
3)시인은 복 있는 사람의 아내를 “결실한 포도나무”, 자식을 “어린 감람나무”로 비유→번성과 번영의 상징
4)아브라함의 복(믿음, 물질, 명예, 영적, 자녀)은 자녀들을 통하여 전수 되었다.(가정, 가문, 민족, 열방)
5)셋째, 성전에 올라가는 자들이 거하는 나라는 복을 받는다.(5)
6)넷째, 이외에도 ‘지혜의 근본’(잠9:10), ‘장수’(잠10:27), ‘보호와 인도’(시34:7), ‘재물과 영광과 생명’(잠22:4)
3. 누가 복을 주실 수 있는가?(5-6)
1)시인은 이러한 복을 주시는 ‘시복자가 여호와’라는 사실을 선언한다.(5)
2)민6:24-26(제사장의 축도)처럼 복 있는 사람에게 더 많은 복을 여호와의 빌어주고 있다.(=일종의 축도)
3)θ은 성전을 통하여 복을 주신다.
4)θ은 평생토록 θ을 섬기는 수단으로 현세에 필요한 복도 주신다.
5)θ은 자손을 통한 복을 주신다.
6)θ은 평강의 복을 주신다.
*여호와를 경외는 자가 받는 복에 대하여 말씀드렸다. ‘시복 자이신 θ’은 자신을 경외하여 그의 길을 걷는 자에게
특별히 수고한 대로 먹는 산업의 복과 가족의 복과 평강의 복을 주신다.